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끄기 메모리 확보

 

컴퓨터를 처음 실행하게되면 무수히 많은 프로그램들이 자동으로 실행되게됩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꼭 필요하거나 사용하면서 유용하게 도움이 되는것들도 있지만 이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하지 않는다거나 다른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불필요하게 실행되어 PC의 메모리나 CPU를 잡아먹어 속도에 영향을 주게됩니다. 

사양이 좋아서 켜져있어도 상관없다라고 하시는 분들도 있고 이게뭔가요 하는분들도 있는데, 그냥 불편, 평소 민감해서 조금만 무언가가 켜져있어도 불편한게 느껴진다 하시면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설정을 많이 해놓습니다. 저역시 필요하지 않아 따로 설정해서 점유율을 낮추고 PC를 이용하는데요 적게는 100MB에서 많게는 200~300MB까지 잡아먹어 골머리를 앓는 분들을 위한 비활성화 방법을 공유해볼까합니다.

Windows운영체제를 이용중인 분들은 Defender에서 실시간으로 보안 관리를 통해서 바이러스, 악성코드등의 위협을 사전에 방지하여 쾌적한 이용을 돕는데요 예약시간에 맞춰 파일들을 검사하게 해놓은 경우 등으로 실행이 되는걸 확인할 수있습니다

확인을 해보면 MsMpeng라는 응용 파일이 C드라이브 - ProgramData - Microsoft - Windows Defender\4.18.2211.5-0이라는 위치에서 설치되어 실행되는걸 확인가능합니다. 지금까지 확인된 저 녀석을 제외시켜서 실행이 안되게 할겁니다.


 

지금 포스팅을 통해서

총3가지 방법을

설명해드릴건데요 아래와 같이

따라하시면 됩니다.

 


 1st 

 

여기서 대부분 끝남... 재붓 필수!

 

1. 레지스트리 편집기 단축키 WIn+R  혹은 검색에서 실행을 입력해 혼내줄겁니다.

regedit 입력후 다음와같이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Policies Microsoft → Windows Defender   

DisableAntiSpyware값을 손볼건데 값데이터를 0에서 1로 변경한후 확인을 누르고 컴퓨터를 꼭 재부팅 시켜줍니다.


 

  2st  

순서대로 찬찬히..

1. 바탕화면에서 윈도우아이콘 좌클릭 - "실행"클릭 or 검색창에 "실행"입력 or 키보드 Windows아이콘 + R 동시눌러 실행시켜준다음 "gpedit.msc"라고 영문이 틀리지 않게 입력하여 확인을 눌러 실행시켜줍니다.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좌측 메뉴중 관리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Microsoft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실시간 보호 기능 /끄기를 눌러 두가지 항목을 사용해줄겁니다 더블클릭하여 들어갑니다.

끄는거기 때문에 사용으로

2. 구성되지 않음(C)라고 대부분 되어있거나 사용안함으로 되어있을텐데 두가지 항목 모두 사용 (E)로 바꿔서 확인을 눌러주게되면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관련해서 실행이 안되거나 메모리가 줄어드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3st 

1. 모니터 왼쪽 하단을 보면 윈도우 아이콘이있는데요 마우스 좌클릭후 설정을 눌러 업데이트 및 보안 항목으로 들어가도 되고 키보드 단축키 윈도우모양 + I를 눌러도됩니다.

 

2. 세번째탭에 Windows 보안 메뉴로 들어가서 바이러스 및 위협방지를 누르고 위협관련된 항목들이 나오는곳에서 중간쯤 파란색 글씨로 설정관리라고 있습니다. 클릭!

3. 스크롤을 조금만 내리면 파란색 제외 추가 또는 제거를 눌러 +사항추가를 눌러줍니다.

 

4. 초반에 확인되었던 위치에 디펜더 폴더에 Msmpeng를 눌러서 추가시켜주면 됩니다.


액세스가 거부되서 안된다 등 보통 레스트리쪽만 건드는 설정으로 해결되곤하는데 3가지 모두 추가적으로 실행해볼만합니다.

필수로 알아두셔야할 부분이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끄기를 하거나 삭제해도 되냐 물어보신다면 되긴하지만 컴퓨터 보안이 취약해 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본인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모두 해도 안된다 하시면 Porcess Hacker, Defender Control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해 삭제해 보시는것도 권해드립니다.